김흥숙 노년일기 131

노년일기 138: 달팽아, 미안해 (2022년 10월 23일)

따스한 가을 햇살 위로 가을바람이 스칩니다. 왜 '가을 햇살'은 두 단어이고 '가을바람'은 한 단어일까요? 때로는 표준국어대사전이 고개를 갸웃하게 합니다. 바람을 느끼며 걷다 보니 간판 없는 채소가게 앞입니다. 배추 세 통들이 한 망이 금세라도 구를 듯 놓여 있습니다. 겉껍질은 시들었지만 물에 담가 두면 푸르게 살아날 겁니다. 배추를 보는 저를 보았는지 가게 사장이 소리칩니다. "배추 6천 원!" 6천 원이면 한창때 가을배추 값입니다. 배춧잎에 구멍이 숭숭 뚫렸다 했더니 새끼손톱보다 작은 달팽이가 두 마리나 나옵니다. 달팽이가 앉은 배춧잎 조각 채로 화분 흙에 옮겨둡니다. 하룻밤 물에 담가두니 시들었던 잎들이 본래의 초록으로 돌아옵니다. 한 통에 5, 6천 원 배추가 되었습니다. 절여두었던 배추를 씻는데..

나의 이야기 2022.10.23 (3)

노년일기 137: 다음 카카오처럼은 (2022년 10월 19일)

전에도 말씀 드렸지만 저는 13년 전에 포털사이트 '다음'에 블로그를 열었습니다. 사교를 좋아하지 않아 밖에 나가 사람들과 어울리는 일이 적은 만큼 블로그를 통해 사회의 일원으로서 최소한의 목소리를 내자는 생각이었습니다. 제가 '다음 블로그'에 글을 쓰는 동안 '다음 블로그'는 여러 차례 변화를 꾀했습니다.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그 변화는 늘 개선 아닌 개악이었습니다. 지난 9월 '다음 블로그'가 없어지니 '티스토리'로 이전하라는 최후통첩을 받고 티스토리로 이전하면서도 늘 불안했습니다. 이번 변화는 또 어떤 개악으로 끝날까... 그런데 지난 주말 다음 카카오 데이터센터에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화재는 발생할 수 있는 일이지만 그 다음이 문제였습니다. 카카오그룹에 속한 128개 회사들이 며칠 동안이나 제대로 ..

나의 이야기 2022.10.19 (1)

노년일기 136: 사이좋은 모녀 (2022년 10월 12일)

며칠 전 좋아하는 카페에 갔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카페 입구에서 바라본 너른 창가 자리에 중년 여인이 신을 신지 않은 발을 의자 팔걸이에 걸쳐 놓고 앉아 있었습니다. 맨 다리가 팔걸이에 걸쳐진 채 덜렁거리는 모양이 끔찍했습니다. 여인의 건너편에는 젊은 여인이 앉아 있는데 그 모양이 아무렇지 않은 듯 한참 대화 중이었습니다. 들어가고 싶은 마음이 싹 달아났지만 그 집의 커피와 음악을 따라올 곳이 없으니 하는 수 없이 들어갔습니다. 두 여인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자리를 잡고 커피를 마시는데 그들의 큰 목소리가 거기까지 오니 오래 있을 수가 없었습니다. 일어나 나가니 카페 주인 정진씨가 배웅차 따라나왔습니다. "저 사람들... 끔찍하네요. 내가 가서 얘기할까요? 발 내리라고?" 제가 말하자 저보다 현명한 정진..

나의 이야기 2022.10.12 (2)

노년일기 135: 제일 좋은 친구 (2022년 10월 4일)

'좋은 친구'는 누구일까요? 내게 좋은 것을 주는 친구? 얘기 상대가 되어주는 사람? 돈이 없어 발을 동동 구를 때 돈을 빌려주는 사람? 그러면 '제일 좋은 친구'는 누구일까요? 제 생각에 그는 우리를 살아가게 하는 존재입니다. 사는 게 너무 힘들어 죽고 싶을 때 다시 신발 끈을 고쳐 매게 하는. '당신의 제일 좋은 친구가 누구냐'고 물으면 사람들은 대개 이름이나 호칭을 댑니다. 아버지, 어머니, 영희, 철수 등 등. 하지만 제게 제일 좋은 친구는 늘 죽음이었고 지금도 그렇습니다. 죽고 싶을 땐 언제나 죽음을 생각했습니다. '언제든 죽을 수 있으니 지금 죽지는 말자, 이보다 더 힘들 때 죽자' 하고 생각한 적이 많았습니다. 죽음을 시도했다가 운명 덕에 살아남은 후에도 죽음은 변함없이 힘든 상황을 견디게 ..

동행 2022.10.04 (2)

노년일기 134: 할머니 노릇 (2022년 10월 1일)

둘째 수양딸이 지난 오월 둘째 아기를 낳았습니다. 정신없이 구월을 보내다 문득 아기의 백일이 되었겠구나 깨달았습니다. 금반지를 사 보내고 싶어 금은방에 갔습니다. 한 돈짜리는 너무 비쌀 것 같아 반 돈 짜리 값을 물었더니 제 또래거나 저보다 조금 더 나이들었을 주인이 스마트폰으로 시세를 알아보곤 말했습니다. "16만 5천 원. 하나 줘요?" 16만 5천 원은 제가 감당할 수 없는 금액. "아니오" 하고 금은방을 벗어나는데, 돈이 없으니 사람 노릇도 할 수가 없구나... 슬픔 같은 것이 밀려왔습니다. 금은방에 있던 수많은 금붙이와 보석들이 떠올랐습니다. 그 주인이 무례한 게 그가 가진 비싼 것들 때문일까 생각하니 더욱 씁쓸했습니다. 금은방에서 조금 떨어진 가게에 가서 두 아기와 부모의 양말을 골랐습니다. ..

나의 이야기 2022.10.01 (4)

노년일기 133: 화려한 결혼 (2022년 9월 5일)

어젠 조카의 결혼식 날, 늘 웃는 얼굴의 조카라 그런지 비가 와도 걱정이 되진 않았습니다. 옥외와 옥내를 아우르는 결혼식장은 푸른 숲으로 둘러싸여 아름다웠습니다. 의식은 옥외에서 진행되었는데 머리 위 높이 쳐 놓은 차양 덕에 신랑신부도 옥외 좌석에 앉은 하객들도 비를 맞지 않았습니다. 옥내에 앉은 하객들은 통유리를 통해 의식을 보았습니다. 종일 비가 내리다 멈췄다를 반복했지만 비도 결혼식의 화려함을 지우진 못했습니다. 오랜만에 보는 형제들, 조카들과 그들의 아이들이 반가웠습니다. '낳아 놓으면 큰다'는 말은 옛말... 저 아이들을 저만큼 키우느라 바쁘고 힘들었을 아이들 부모들이 대견하고 안쓰러웠습니다. 결혼식장이 커서 그런지 일하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주차장 관리부터 뷔페 관리까지 검은 옷을 입은 젊은이..

동행 2022.09.05

노년일기 132: 전문가 (2022년 8월 29일)

아래층 목욕탕 천장에서 물이 똑똑 떨어진다는 얘기를 들은 지 20일... 마침내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아래층에 사는 분들은 세수하다가 뒷머리에 똑똑 떨어지는 물을 맞았으니 얼마나 불쾌했을까요? 우리 가족들은 삼십 도가 넘는 더위에 목욕탕을 사용할 수 없으니 영 불편했습니다. 물 떨어지는 것을 보러 아래층을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현관문엔 '0000교회'라 쓰인 작은 명찰 같은 게 붙어 있고 문을 여니 정면에 크고 아름다운 예수님의 초상이 걸려 있었습니다. 목욕탕에 들어가 증세에 대한 설명을 듣고 돌아왔는데 문제에 대한 걱정이 큰 만큼 초상도 인상적이었습니다. 교회에 다니는 사람이 많지만 그 집들 모두 예수님의 초상을 입구에 걸어두진 않을 테니까요. 두 명의 '누수 전문가'가 다녀갔지만 문제를 찾아내지 ..

동행 2022.08.29

노년일기 131: 빚 갚기 (2022년 8월 25일)

젊은 시절 은행에서 돈을 빌려 집을 얻고 또 돈을 빌려 집을 샀습니다. 그리곤 제법 열심히, 즉 하고 싶지 않은 일을 참고 하면서 간신히 은행 빚을 갚았습니다. 다 갚고 보니 저는 젊지 않았습니다. 가끔 거울 속 흰머리를 빗으며 '그래도 빚이 없어 다행'이라고 생각했는데 문득 정신을 차리고 보니 갚지 못한 빚이 제 키보다 높이 쌓여 있었습니다. 봄이 끝나갈 땐 봄에 받은 사랑 빚을 갚지 못하고 여름을 맞으니 어쩌나 했는데 서늘한 바람이 아침을 가르니 이 한 해 동안 받은 사랑도 또 갚지 못하겠구나... 절망하게 됩니다. 전에는 '빚이 나를 살아가게 하는 빛이구나' 생각한 적도 있지만 이젠 '아무리 해도 이 生에서 진 빚을 갚지 못하고 가겠구나'하는 생각이 드니 나이와 함께 늘어나는 건 부끄러움뿐입니다. ..

나의 이야기 2022.08.25 (1)

노년일기 130: 고무줄 (2022년 8월 19일)

몇 년 전만 해도 반바지를 입고 집을 나서는 건 몹시 쑥스러운 일이었지만, 올여름은 반바지 두 벌로 버텼습니다. 다리 절반이 노출되니 시원한데다 뜨거운 직사광선이 뼈를 튼튼하게 해준다는 말도 들어서입니다. 한 벌은 가족이 입던 것으로 엉덩이 부분이 해어져 꿰매어 입었지만, 헌옷수거함 출신인 다른 한 벌은 출신지에 어울리지 않게 아주 새 것입니다. 삼사 년 묵은 초가지붕 색과 짙은 남색인데, 두 바지 모두 면을 꼬아 만든 띠로 허리둘레를 조정하게 되어 있었습니다. 허리밴드가 신축성이 없다 보니 바지를 입고 벗을 때마다 띠를 묶었다 풀었다 해야 해서 아주 불편했습니다. 견디다 못한 어느 날 띠를 빼내고 고무줄을 넣었더니 그렇게 편할 수가 없습니다. 아, 또 하나 닮고 싶은 존재를 발견했습니다. 고무줄 같은 ..

나의 이야기 2022.08.19

노년일기 129: 요섭의 속눈썹 (2022년 8월 10일)

오른쪽 눈의 속눈썹이 눈꺼풀을 찔러 상처가 났습니다. 나이들며 눈꺼풀이 내려오는데다 더위로 인해 피부가 거의 항상 젖어 있으니 속눈썹처럼 약한 자극에도 상처가 나는 것이겠지요. 쌍꺼풀의 겹진 부분이라 남의 눈엔 잘 보이지 않지만 쓰라립니다. 속눈썹 하면 요섭이 떠오릅니다. 경향신문 정치부 정요섭 기자... 속눈썹이 유난히 길었던 그와 저는 1980년대 중반 외무부(지금의 외교부) 출입기자로 만났습니다. 우리는 모두 전두환 정권에게 언론의 자유를 빼앗긴 불행한 기자들이었고, 저는 당시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8층에 있던 외무부 기자실에 출입하던 유일한 여기자였습니다. 요섭과 저는 가끔 8층 창가에 서서 세상을 내려다보며 낮은 목소리로 찬송가를 읊조리곤 했습니다. 어느 날인가 제가 기자실의 큰 테이블에 앉아 뭔..

나의 이야기 2022.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