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흥숙 2639

유상철: 위대한 선수, 위대한 인간 (2021년 6월 9일)

지난 7일 우리는 위대한 동행 유상철 선수를 잃었습니다. 그가 위대한 것은 뛰어난 축구 선수이고 감독이어서만이 아닙니다. 그는 하나의 눈만 가지고도 훌륭한 축구 선수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암에 시달리면서도 투지를 잃지 않은 위대한 사람입니다. 축구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저로 하여금 축구 경기 생중계를 보게 했던 유상철 선수... 당신은 참으로 위대한 인간, 멋있는 남자였습니다. 삼가 명복을 비오며 시 한 편 올립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4077758 선수 유상철을 기억하는 두 가지 키워드 ‘멀티’ ‘투쟁심’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반까지 한국 축구에서 ‘멀티 플레이어’라는 개념은 낯설었다. 수비형 미드필더 포지션에서는 빈틈이 날 때 공격에 가담하기 위..

동행 2021.06.09

근조 명지대 앞 가로수 (2021년 6월 7일)

며칠 전 명지대 정문 앞을 지나다 깜짝 놀랐습니다. 여러 십 년 자란 플라타너스들이 온데간데없고 밑둥만 남아 있었습니다. 나무도, 집도, 사람도, 아름답게 자라는 데는 긴 시간이 걸리지만 사라짐은 순간입니다. 그 나무들과 함께 2차선 도로의 운치도 한여름 더위를 식혀주던 긴 그늘도 함께 사라졌습니다. 도대체 누가, 왜, 그 나무들을 베어 버린 걸까요? 혹시 그 나무들의 무성한 잎과 가지로 인해 명지대 캠퍼스에 짓고 있는 편의시설인지 상업시설이 가려지기 때문일까요? 제가 용서하거나 미워해야 할 사람, 아니 저주해야 할 사람은 어디에 있는 누구일까요? 명지대? 서대문구청? 서울시? 그것을 알고 싶어 '120다산콜센터'에 전화했지만 통화량이 많으니 나중에 다시 걸라는 기계음만 들었습니다. 그 나무들이 도저히 ..

동행 2021.06.07

유월의 첫날 (2021년 6월 1일)

이슬비를 타고 유월이 왔습니다. 유월엔 '6'자를 닮아야겠습니다. '6'자는 부드럽고 리드미컬하게 흐르며 열려 있습니다. 부드럽고 리드미컬하게 흐르며 열린 상태를 유지하려면 많이 걸어야겠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진녹색 표지의 에서 틱낫한(Thich Nhat Hanh) 스님은 '자유로운 인간으로서' 걸으라 하십니다. 지금까지도 자유롭게 걸었지만 더 자유롭게 걸어야겠습니다. 틱낫한 스님의 책 14쪽 일부를 대충 번역해 옮겨둡니다. "Walk as a free person. Walk in such a way that every step brings you more dignity, freedom, and stability. Then joy and compassion will be born in your heart..

나의 이야기 2021.06.01

무소의 뿔처럼 (2021년 5월 29일)

5월의 끝에 서서 한 달을 돌아보니 사랑 덕에 살았습니다. 하루하루 기적처럼 해가 뜨고 비가 내리고 구름이 흘러갔습니다. 나무들은 쑥쑥 자라고 꽃들은 힘들여 꽃을 피웠습니다. 과분한 사랑을 주신 분들, 특히 커피와 보약으로 영육을 돌봐준 두 수양딸에게 감사하며 이 구절 함께 읽고 싶습니다.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진흙에 더럽히지 않는 연꽃처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법정, , 샘터

동행 2021.05.29

달빛에 잠이 깨어 (2021년 5월 28일)

밤에 자꾸 잠이 깨어 괴롭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저도 새벽에 깨는 일이 많은데, 그럴 때면 잠자려 애쓰는 대신 일어납니다. 시간을 덤으로 받은 기분으로. 그런데 어제 법정스님의 글을 읽다가 스님도 '자다가 몇 차례씩' 깨셨었다는 말씀을 만났습니다. 때로는 기침하느라 잠에서 깨어나시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스님은 그럴 때 이런 생각을 하셨다고 합니다. "한낮의 좌정坐定보다 자다가 깬 한밤중의 이 좌정을 나는 즐기고자 한다. 살아온 날보다 앞으로 살아갈 날이 많지 않으니 잠들지 말고 깨어 있으라는 소식으로 받아들이면 기침이 오히려 고맙게 여겨질 때가 있다. 맑은 정신이 든다. 중천에 떠 있는 달처럼 내 둘레를 두루두루 비춰주고 싶다." -- 법정, , 샘터

오늘의 문장 2021.05.28

'바보 노무현' 생각 (2021년 5월 23일)

다시 그날이 왔습니다. '바보 노무현'이 세상을 등지고 저 세상으로 날아간 날, 쓸데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다시 그를 생각합니다. 겨우 악수 한 번 나눈 것뿐인데... 그 두툼한 온기가 여러 십년 제게 머물며 그와의 사별을 슬퍼하게 합니다. 헛똑똑이들로 시끄러운 세상에서 '바보'를 그리워하는 건 당연할 지도 모릅니다. 게다가 저 또한 둘째가라면 서러운 바보이니까요 [정동칼럼]‘바보’는 어디 있는가 천정환 저자·성균관대 교수 다시 노무현 전 대통령의 기일을 맞으며 그 유서를 읽어본다. “너무 많은 사람들에게 신세를 졌다./ 나로 말미암아 여러 사람이 받은 고통이 너무 크다./ 앞으로 받을 고통도 헤아릴 수가 없다./ 여생도 남에게 짐이 될 일밖에 없다./ (…) 너무 슬퍼하지 마라./ 삶과 죽음이 모두 자연..

동행 2021.05.23

이삿날 (2021년 5월 21일)

오늘은 친구 자매가 이사하는 날입니다. 어젯밤부터 뿌린 비가 새벽에도 계속되기에 이제 그만 비를 그쳐 주소서... 기도했습니다. 새 집으로 가는 길을 닦아주는 비는 고맙지만 이삿짐을 적시는 비는 반갑지 않으니까요. 살던 곳을 떠나 새로운 동네에 정착할 때는 힘이 들지만, 사람은 '도전과 반응'을 통해 깊어지고 넓어진다니 이사의 피로와 적응의 힘겨움도 친구들의 성장과 성숙에 도움이 되겠지요. 혜은씨, 혜선씨, 이사를 축하합니다. 묵은 집에서 풀지 못한 숙제가 있으면 새 집에서 다 푸시고, 새 마음으로 각성과 발전 이루시고, 좋은 이웃을 만나 더 많은 사람을 사랑하게 되기를... 축원합니다!

동행 2021.05.21

광주의 입맞춤 (2021년 5월 18일)

죽은 친구 중에 광주 사람이 있는 것도 아니고 광주에서 살거나 자주 드나든 것도 아닌데 광주를 생각하면 슬프고 괴롭습니다. 생각이 그대로 고통이 되어 몸을 주저앉히니 가능하면 생각을 하지 말자 하지만 5월, 특히 5월 17일부터는 광주를 생각하지 않을 도리가 없습니다. 그리고 그 생각은 늘 깊은 슬픔과 거대한 분노로 이어집니다. 광주의 의거와 무수한 희생자들을 기리며 광주가 낳은 시인의 시를 읽습니다. 이성부(1942-2012) 선배님, 어디쯤에 계신가요, 그곳은 이곳보다 나은가요? 자연 한줌 흙을 쥐고 처음인 듯 들여다본다. 흙은 마지막 남은 틀려버린 일을 끝내고 다시 시작할 수 없다는 냄새를 낸다. 썩음의 목마른 소리를, 무너진 아름다움을 들내어 보여준다. 흙은 또 금방 생활을 토해낼 것 같은 창백한..

동행 2021.05.18

매실이 익겠구나, 비! (2021년 5월 15일)

새벽녘 잠시 이슬 같은 비가 손등에 내려앉더니 벌써 그쳤습니다. 내일은 종일 비가 온다니 목마른 매실은 없겠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매실을 기다립니다. 아래는 일러스트포잇 김수자 씨의 블로그에서 가져온 그림과 시입니다. 그림을 클릭하면 김수자 씨의 블로그 '시시한 그림일기'로 연결됩니다. 맨 아래 글은 김수자 씨의 글입니다. 시 한편 그림 한장 서우(暑雨) - 고영민 종이에 채색 서우(暑雨) - 고영민 매실이 얼마나 익었나 우두커니 방에 앉아 비의 이름을 짓네 매실이 익는 비 매실을 보내는 비 떨어져 온종일 한쪽 볼을 바닥에 기대고 있노라면 볼이 물러지고 녹아, 썩어 없어지는 올해도 나무는 들고 있던 꽃을 놓치고 애지중지 열매를 또 놓치고 시큼달큼 이 비는 언제나 그칠까 매실이 가고 없는 가지 끝 허공..

동행 2021.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