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옷 정리 (2010년 10월 4일)

divicom 2010. 10. 4. 09:22

저는 '정리 불능 증후군' 환자입니다. 제 컴퓨터가 있는 방은 물론 제가 머무는 곳은 어디나 무질서하게 만드니까요. 책상 위, 방 바닥, 냉장고 안... 모두 엉망입니다. 가끔 가족들의 도움을 받아 정리를 하며

간신히 살아갑니다. 18년을 산 집에서 이 집으로 이사온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제일 큰 것은 집이 줄어든 것입니다. 제가 정리를 못하니 짐이 집을 자꾸 잠식해 들어가 결국은 집이 원래 크기의 절반이 되었었거든요.

 

계절이 바뀔 때 어김없이 해야 하는 일 중에 옷 정리가 있습니다. 가을이 오니 여름 옷을 치우고 가을과 겨울 옷을 꺼내야 합니다. 겨우 몇 달 후면 다시 이 옷들을 넣고 얇은 옷을 꺼내야 하겠지요. 사계절이 있는 나라에서 사는 건 축복이지만 좋은 일엔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값을 치러야 합니다. 옷 정리도 그 값 중 하나이겠지요.

 

옷 정리를 하다 보니 한심한 생각이 듭니다. 몸은 하나인데 웬 옷이 이렇게 많을까요? 여름엔 땀이 많이 나고 그러면 자주 갈아 입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해도 너무 많습니다. 저는 옷을 자주 사는 편이 아닌데도 이러니 옷을 자주 사는 사람들은 옷 정리하기가 얼마나 어려울까요? 

 

잘 못하는 일을 하려니 땀이 뻘뻘 납니다. 땀을 씻으며 정리 잘하는 사람들을 생각합니다. 오랜 친구 하나는 참 정리를 잘합니다. 같은 사무실에 근무할 때도 그의 책상 위는 늘 깨끗했지만 제 책상 위엔 늘 무엇이 있었습니다. 저는 그의 좋은 머리보다 정리 잘 하는 게 더 부러웠습니다. 머리가 좋아야 정리를 잘 하는 걸까요?

 

돌아가신 시누이도 생각납니다. 간다는 얘기를 하지 않고 찾아가도 집은 장학사를 맞이하는 학교처럼 언제나 정리가 잘 되어 있었습니다. 머리가 특별히 좋은 편은 아니었지만 마음이 맑고 따뜻한 분이었습니다. 마음이 맑고 따뜻해야 정리를 잘하는 걸까요? 

 

가족들은 '창의적인 사람은 정리를 못하는 법'이라며 '아인슈타인의 책상'은 제 것보다 훨씬 지저분했다고 저를 위로하지만, 제가 별로 창의적인 사람이 아니라는 건 그들도 알고 저도 압니다. 그래도 그 말이 위안이 되는 건 그 흰 거짓말의 어머니가 사랑이기 때문입니다. 가족들이 저를 '정리 불능 증후군'환자로 판정한 것도 사랑입니다. 제가 정리를 못하여 스스로 스트레스를 받으니 그걸 위로하려고 그 불능을 질병화한 것이지요. 그러니 이 증후군은 정식 의학용어가 아닙니다. 

 

사람 사는 집에 손님이 들지 않으면 집안이 엉망이 된다고 합니다. 손님이 자꾸 드나들어야 정리도 하고 대청소도 하게 되니 이런 말이 나왔나 봅니다. 지난 여름을 생각하면 이 가을은 손님 중에도 반가운 손님. 손님 덕에 시작한 정리 작업, 아무래도 좀 더 확대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