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흥숙 2641

낙태 천국 (2010년 2월 23일)

우리나라는 출산율 1.19로 세계에서 제일 심각한 저출산국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노령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학교에 다닐 연령대인 학령인구가 최근 4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천만 명 아래로 떨어졌으며, 2000년 7퍼센트 정도였던 전체인구 대비 65세 인구 비율은 2022년쯤엔 배가될 거라고 합니다. 결과적으로 2305년쯤이면 남녀 합해 5만 명 정도의 작은 나라가 될 거라는 예측입니다. 그런가하면 우리나라는 낙태 천국입니다. 임신중절로 희생되는 아기가 하루에 1,000명이나 되어 낙태되는 아기의 수가 태어나는 아기의 4~5배에 이른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이니 낙태를 금지하여 출산율을 높이자거나, 낙태를 시행하는 의사들을 처벌하자는 목소리가 나오는 게 놀랄 일은 아닙니다. 그러나 그렇게 단순한 접..

나의 이야기 2010.02.23

행동하는 양심

1월의 마지막 주와 2월 초입에 들려온 슬픈 소식 두 가지. 소식의 주인공은 김대중 전 대통령과 미국 역사학자 하워드 진 (Howard Zinn)입니다. '행동하는 양심'을 주창하고 그렇게 불린 분들입니다. 태어나 산 곳도 직업도 달랐지만 지향점은 같았던 두 분입니다. 하워드 진은 1월 27일 타계했고, 2월 2일엔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의 김 전 대통령 묘소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두 가지가 다 애석한 일이지만 제겐 화재 사건이 더 큰 슬픔을 일으킵니다. 같은 한국인인 탓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그분의 생전과 사후, 그분이 견뎌야 했고 여전히 견디고 있는 폭력적 무례 때문입니다. 현충원 측은 현장에서 삼백 미터 가량 떨어진 박정희 전 대통령 묘역과 무명용사 위령탑 부근에서 김 전 대통령을 친공산주의..

나의 이야기 2010.02.08

돌아다보면 문득 (2010년 2월 1일)

오후 2시 반, 지하철 3호선 기차 안입니다. 전등이 켜있어도 어두운 건 승객들 때문인 것 같습니다. 대합실도 그랬지만 승객은 대부분 50세 이상입니다. 아무리 평균 수명이 늘어났다 해도 50세가 넘은 사람에겐 꿈꿀 미래보다 ‘돌아다볼’ 과거가 길고, 알 수 없는 시간에 대한 호기심보다는 지나간 시간이 남긴 피로가 짙습니다. 마침 객차와 객차 사이의 문이 열리며 초로의 남자가 들어옵니다. 문이 닫히기 전에 얼른 그이가 떠나온 칸으로 옮겨 탑니다. 칸은 달라도 풍경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앉아 있는 사람, 서 있는 사람, 모두 옆 칸 사람들을 옮겨놓은 듯합니다. 나이는 차이를 지우고 같음을 강조하는 유니폼입니다. 객차 양 끝의 ‘노약자 석’은 물론이고 가운데의 긴 의자들도 모두 노인들 차지입니다. 이제는..

자유칼럼 2010.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