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화에 따른 사회불안이 가중되면서 자신의 정치적 성향이 ‘보수’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한국인의 비중이 크게 줄었다고 합니다. 한국일보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공동 기획한 '2011년 공생발전을 위한 국민의식 조사'에 따르면, 20~30대의 경우 10명 중 1명만이 자신이 보수라고 답했으며, 40대에서도 보수라는 답변이 20퍼센트 이하로 떨어졌다고 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올해 실시되는 총선과 대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겠지요.
2004년 같은 조사에서 보수라고 응답한 사람은 28.3퍼센트였는데 작년에는 19.8퍼센트로 8.5퍼센트 포인트 줄어든 것입니다. ‘진보’라고 답했던 사람은 같은 기간 31.7퍼센트에서 28.8퍼센트로 2.9퍼센트 포인트밖에 줄지 않았다고 합니다. 스스로 ‘중도’라고 답한 비율은 2004년 38.9퍼센트에서 지난해에는 51.4퍼센트로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번 조사는 전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설문내용을 이용, 지난해 12월 전국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국내에서는 2004년에 이어 7년 만에 이뤄졌다고 합니다.
지난 7년 동안 인구표준 분포가 바뀌어 20~30대 비율이 2004년 45.3퍼센트에서 39퍼센트로 줄고, 60대 이상의 비율은 18.7퍼센트에서 20.9퍼센트로 늘었는데도 보수지형은 축소됐다는 게 재미있습니다. 20~50대의 보수층이 8~10퍼센트 포인트 줄어든 것보다 60대 이상에서 12.5퍼센트 포인트 줄어든 게 놀랍습니다. ‘나이든 사람은 보수 꼴통’이라는 통념을 버릴 때가 온 것 같습니다.
스스로 보수적이라는 응답이 진보적이라는 답변보다 더 많이 감소한 이유는 현재 여당의 역할에 대한 비판으로 보인다는 게 보건사회연구원 김미숙 연구위원의 설명입니다. 만일 이 조사를 지금 한다면 스스로 ‘보수’로 칭하는 사람의 비율이 더욱 줄어들 것입니다. 물론 그건 한나라당 전당대회 때 돈 봉투를 돌렸다는 박희태 씨 같은 분들의 덕이 크겠지요. 이런 분이 5선 의원에 국회의장이니 참...
이번 사건으로 한나라당이 해체될 거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당명을 바꾼다고 사고방식이 바뀌지는 않습니다. 나라꼴이 더 우스워지는 걸 막으려면 유권자들이 정신 차려 선거혁명을 이루는 수밖에 없습니다. 무엇보다 정치관계법을 바꾸어야 합니다. 국회의원이 돈과 명예를 보장하는 평생 직업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누구든 국회의원을 세 번 이상 하는 것은 막아야 합니다. 그래야 새로운 인물들이 새로운 정책을 들고 나와 사회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은 앎이다 (2012년 1월 11일) (0) | 2012.01.11 |
---|---|
문재인의 힐링캠프 (2012년 1월 10일) (0) | 2012.01.10 |
외도, 한국 세계 2위 (2012년 1월 7일) (0) | 2012.01.07 |
개천에서 용이 나오지 못하는 한국 (2012년 1월 5일) (0) | 2012.01.05 |
카드, 문자, 메일 (2012년 1월 2일) (0) | 2012.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