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문장

나는 하층민(2013년 12월 4일)

divicom 2013. 12. 4. 16:01

우리 국민의 절반 가까이가 자신은 '하층민'이라고 생각한다는 사회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통계청이 오늘 발표한 '2013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자신이 사회경제적 하층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46.7퍼센트로 이 조사를 처음 실시한 1988년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아래는 이 소식을 전하는 연합뉴스 기사인데 이 기사엔 놀라운 소식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취업자 10명중 6명은 "일자리 불안감 느껴"

 

(세종=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하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절반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신이 하층민이라 답한 비율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신분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떨어졌다.

 

취업자 10명중 6명은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는 불안감 속에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용의 안정성에 균열이 있음을 보여줬다.

 

가구주 46.7% "나는 하층민"

 

통계청이 4일 발표한 '2013년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가구주의 소득·직업·교육·재산 등을 고려한 사회경제적 지위를 하층이라고 판단한 국민이 46.7%였다. 상층은 1.9%, 중간층은 51.4%였다.

 

자신이 하층민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은 이 조사를 처음 실행한 1988(36.9%) 이후 최고치다. 2011년 조사 때와 비교해도 1.4%포인트 늘었다.

 

반면 스스로 중간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2년 전에 견줘 1.4%포인트 줄었다. 살림살이가 팍팍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2년 새 그만큼 늘어난 셈이다.

 

특히 여성 가구주의 10명중 6명은 본인이 하층이라고 생각했다. 남성(41.4%)보다 20% 포인트 이상 높은 비율이다.

 

신분 상승에 대한 기대도 줄었다.

 

일생 동안 노력한다면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응답한 비율은 28.2%, 낮다는 비율은 57.9%였다.

 

자식세대의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응답은 39.9%, 높다는 응답은 41.7%였다. 본인 세대보다는 자녀 세대의 지위상승 가능성을 희망적으로 본 것이다.

 

계층 변화 가능성이 크다는 응답은 2년 전에 견줘 본인세대(-0.6%포인트), 자녀세대(-1.8%포인트) 모두 떨어졌다.


취업자 10명중 6명은 '고용불안'

 

직업을 선택할 때 고려사항으론 수입(37.1%)이 가장 중요했다. 다음이 안정성(28.4%), 적성·흥미(16.6%)였다.

 

연령별로 13~24세는 대기업 취업을 원하는데 25~29세에선 공기업(공사·공단)을 원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13~29세층이 가장 선호하는 직장은 국가기관(28.6%)이었다.

 

직장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는 비율은 59.8%였다. 여자(56.8%)보다 남자(61.9%)의 불안감이 컸다. 연령별로는 30(65.1%), 종사자별 지위로는 고용주(53.1%)나 자영업자(50.4%)보다 임금근로자(64.5%)가 직장을 잃거나 바꾸어야 한다는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여성 취업이 좋다는 견해는 84.5%, 가정일에 전념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6.9%였다. 일과 가정생활 중 '일을 우선시한다'는 응답은 54.9%로 집계됐다.

 

·가정 양립제도와 관개해선, 출산휴가제(78.8%), 육아휴직제(72.0%), 배우자출산휴가제(68.5%) 순으로 인지도가 높았다.

 

직업이 불안하다고 느낀 비율은 여자(56.8%)보다 남자(62.4%)가 더 많았다.

 

계모임·동창회 50대가 가장 활발

 

동창회와 계모임 등 각종 단체에 참여하는 사람은 50.1%2011년보다 3.5%포인트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50(59.9%)가 가장 참여가 활발했고 40(57.9%), 30(49.2%), 20(48.0%), 60세 이상(44.1%) 등이 뒤를 이었다.

 

단체별로는 친목·사교단체에 참여한 비율(75.3%)이 가장 높았다. 취미·스포츠·레저가 32.8%, 종교단체가 26.4%였다.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때 도와줄 사람이 있다는 비율은 74.7%2년 전 조사 때보다 1.2%포인트 낮아졌다.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47.0%의 응답자만이 도움받을 사람이 있었다.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는 81.1%로 그보다 비율이 높았다.

 

지난 1년간 13세 이상 인구에서 기부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34.6%였다. 기부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 여유가 없다는 게 60.9%로 가장 많았다.

 

현금기부 경로는 모금단체(57.8%)를 가장 많이 이용했고 종교단체(18.1%), 직장(16.8%) 순이었다. 지난 1년간 현금기부자의 평균 기부횟수는 6.3, 물품기부자는 3.3회였다.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서는 '사회지도층과 부유층의 모범적 기부 증대'라는 응답이 54.2%로 압도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