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 대부터 30대까지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를 차지했던
자살이 작년에는 40대의 사망 원인 1위도 차지했다고
합니다. 40대면 몸과 정신이 두루 왕성할 나이, 인생이
뭔지도 좀 알고, 관계가 주는 위로와 성취의 달콤함도
맛 볼 나이인데 무엇이 그들을 자발적 죽음으로 모는
걸까요?
10대부터 40대의 사람들이 그렇게 많이 자살하는 이유는
그들이 50대 이후 사람들에 비해 뭔가를 덜 가졌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뭔가를 너무 많이 가져서일까요?
일반적으로 40대 이하 사람들이 나이 많은 사람들에 비해
더 많이 가진 것은 '꿈'이고, 덜 가진 것은 '돈'일 겁니다.
그들을 죽게 하는 것은 꿈일까요, 돈일까요, 돈이 없어서
꿈도 못 꾸는 어떤 것일까요? 도대체 이 나라는 누구를
위한 나라일까요?
무거운 마음으로 머니투데이 기사를 옮겨둡니다.
링크를 클릭하면 기사 원문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mt.co.kr/economy/2025/09/25/2025092510580979177
"매일 40명 목숨 끊어"…40대 한국인 사망원인 1위, 암 아니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자를 의미하는 자살 사망률이 13년 만에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40대의 경우 자살이 사망 원인 1위로 올라섰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수는
35만8569명으로 전년대비 6058명(1.7%) 증가했다. 남자 사망자수가
19만1738명으로 여자 사망자수(16만6831명)보다 많았다. 1일 평균 사망자수는
980명으로 전년보다 14명 증가했다.
사망원인은 암,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 질환, 고의적 자해(자살), 알츠하이머병,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순이었다. 암과 심장질환, 폐렴 등 3대 사인은 전체 사인의
42.6%를 차지했다. 2023년 사망원인 11위였던 간 질환은 지난해 9위로 상승했다.
반면 2023년 사망원인 9위였던 패혈증은 10위로 순위가 하락했다.
사망원인 1위를 유지하고 있는 암은 폐암(38.0명), 간암(20.4명), 대장암(19.0명),
췌장암(16.0명), 위암(14.1명)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다. 10년 전과 비교할 때 췌장암,
폐암, 대장암, 전립선암 등의 사망률이 증가했고 위암, 간암의 사망률은 감소했다.
지난해 자살 사망자수는 1만4872명으로 전년대비 894명(6.4%) 증가했다.
1일 평균 자살 사망자수는 40.6명이다.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률은 2년 연속
상승하며 29.1명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4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자살 사망률은
2009년 31.0명, 2010년 31.2명, 2011년 31.7명을 기록한 이후 20명대로 내려왔다.
한국의 자살 사망률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국제 비교를
위해 연령 구조 차이를 제거하고 내놓은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평균 10.8명이다.
한국은 26.2명을 기록해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연령별로도 이상 징후가 나타났다. 자살은 지금까지 10대부터 30대까지의 사망원인
1위였다. 2023년까지만 해도 40대의 경우 사망원인에서 암이 1위, 자살이 2위였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자살(26.0%)이 처음으로 40대 사망원인 1위를 기록했다.
50대 이상에선 사망원인 1위가 과거처럼 암이었다.
최근 늘어나고 있는 치매에 의한 사망률은 29.3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여자가
남자의 2.1배다. 알츠하이머병에 따른 사망률은 23.9명이다. 이는 10년 전인
2014년(8.7명)과 비교해 176.4% 늘어난 규모다.
출생 후 1년 이내에 사망하는 영아 사망자는 지난해 564명으로 전년과 동일했다.
영아 사망률은 2.4명으로 전년대비 0.1명 감소했다. 영아 사망의 원인은 출생 전후기에
기원한 특정 병태(45.2%)가 가장 높았다. 임신과 분만과 관련한 질환으로 사망한
모성 사망자수는 24명이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jPAMT57K00&list=RDtjPAMT57K00&start_radio=1
'동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석 도라지 (2025년 10월 4일) (1) | 2025.10.04 |
---|---|
노년일기 266: 행복한 하루(2025년 9월 29일) (2) | 2025.09.29 |
의사가 되려면 (2025년 9월 23일) (1) | 2025.09.23 |
9월 깊은 밤 (2025년 9월 20일) (1) | 2025.09.20 |
로버트 레드포드라는 큰 별 (2025년 9월 17일) (2) | 2025.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