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낮 따끈한 햇볕 속을 걷다 보면 참새들이 지저귀는 소리가 제법 시끄럽습니다.
참새는 나무들 사이를 오가는 일이 많지만 비둘기는 땅에 머뭅니다.
어쩜 사람들이 비둘기보다 참새를 좋아하는 건
그 새들이 머무는 곳이 다르기 때문일지 모릅니다.
걸어가는 사람의 발길에 아랑곳않고 땅에서 먹을 것을 찾는 살 오른 비둘기는
때로 사람들을 성나게 합니다. 종종거리며 걸음을 방해하거나
갑자기 확 날아올라 먼지나 바람을 일으켜 놀라게 하니까요.
이집트에서는 비둘기를 요리해 먹는다니 우리나라에서도 비둘기 요리법이 개발되든가
비둘기 개체 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전선에 앉아 있는 참새들을 볼 때마다, 쟤네들은 감전되지 않나 궁금했는데
마침 아시아경제의 김종화 기자가 그 이유를 밝히는 기사를 썼기에 아래에 옮겨둡니다.
[과학을읽다]참새가 고압선에 감전되지 않는 이유
김종화 입력 2018.06.01. 06:30'전선 위의 참새'란 영화 보셨나요? 뭔가 대단한 메시지를 던지는 영화는 아니지만 제목에서 뭔가 불안함이 느껴집니다. 고압선 위에 앉은 참새라고 생각하면 상식적으로 "저러다 감전 당하는 것 아닌가" 싶은 마음에 불안하기만 합니다.
미국의 정치인이었던 유진 메카시는 언론을 향해 '전선 위의 참새들'이라고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언론이란 모두 전선 위 참새들이며, 어느 한 마리가 다른 전선으로 날아가 감전되지 않는다는 걸 확인하면 모두 그 곳으로 날아간다"고 비꼬았지요.
매카시의 말처럼, 안전한 걸 확인하면 몰려가는 습성이 참새(언론)에게는 진짜 있을까요? 아니면 위험한 고압선인 줄 알면서도 누구든 먼저가서 앉을 수밖에 없는 본능(직업)일까요? 어느 쪽이든 '참새'를 벗어날 수 없는 평가군요.
요즘 도심에서는 전선 위에 앉아 있는 참새들은 보기 힘드시지요? 대신 전선 위에 앉은 비둘기는 간혹 눈에 뜁니다. 문제는 참새든, 비둘기든 고압선 위에 앉아도 어째 별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겁니다. 사람은 바로 감전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날짐승의 발에는 절연체라도 장치돼 있는 것일까요?
'감전(感電·electric shock)'은 몸에 전류가 흘러 전기적 충격을 주는 현상입니다. 전류가 몸에 흐르기 위해서는 전위차가 있어야 합니다. 전위차가 '0'이면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이 말은 참새(날짐승)와 전선의 전위차가 '0'이라는 의미입니다.
고압선에 참새가 앉으면 참새의 발과 전선은 서로 병렬연결 됩니다. 이 때 두발과 전선 사이의 저항이 0이 돼 전위차도 0이 됩니다. 병렬회로에서 따로 나누어진 회로들은 전위차가 모두 같기 때문에 참새와 전선 사이의 전위차도 0이 되는 원리입니다. 전위차는 물의 수위 개념과 같습니다. 수위가 같으면 물은 어느 한쪽으로 흐르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전위차가 같으면 저항값이 적은 쪽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병렬연결된 회로는 저항값이 큰쪽보다 적은 쪽으로 전류가 더 많이 흐르는데 참새의 저항값과 전선의 저항값 중 참새의 저항값이 더 큽니다. 인체나 동물의 저항값이 전선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더 쉽게 이야기하면, 전위차가 수위라면 저항값은 물길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물길이 있는데 물이 흐르기 쉬운 곳과 흐르기 어려운 곳 중 물은 어느 곳으로 흐를까요? 자연의 이치는 힘든 곳과 편한 곳 중에 늘 편한 곳으로 흐르려고 합니다. 전기의 입장에서는 갑자기 생긴 장애물인 참새를 향해 흐르기보다 잘 흐르도록 길이 잘 닦인 전선으로 흐르는 것이 당연한 것입니다.
사람은 어떠냐고요? 사람도 이론적으로는 참새와 마찬가지입니다. 두 손으로 전선에 매달려도 감전되지 않습니다(제발 몸으로 시험하지 마시길). 다만, 지면과 연결된 철탑이나 전봇대에 닿으면 참새든, 사람이든 감전을 피할 수 없습니다.
피뢰침의 원리를 생각해보면 됩니다. 지구는 엄청나게 큰 도체입니다. 그래서 지구에는 전기가 들어갈 공간이 넘쳐나 전위차도 큽니다. 번개가 치면 피뢰침에 끌려가 곧바로 땅(지구)으로 전기에너지를 보내버립니다. 참새나 사람이 지면과 닿아있는 전신주 등에 몸을 접촉하는 것은 스스로 거대 도체인 지구와 고압선을 연결시켜주는 제3의 도체가 되겠다는 것과 같기 때문에 감전은 피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런 전기의 성질을 이용해 전기를 멈추지 않고, 전류가 흐르는 고압선 위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전기를 몇 시간 멈추면 엄청난 경제적 타격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절연체 몇 개에 생명을 내맡기고 '활선작업'을 해 많은 인명피해를 불러왔습니다.
활선작업은 전류가 흐르는 길을 억지로 막고 작업하는 것입니다. 작은 실수나 갑작스런 기후의 변화에도 목숨을 걸어야 하는 위험한 작업입니다. 다행히 2016년 6월 이런 직접 활선작업이 폐지됐습니다. 사람이 참새가 아니듯이 과학도 사람을 목숨을 걸어야 하는 작업에 내몰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오늘의 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준표 유세 때 경적 울리기(2018년 6월 3일) (0) | 2018.06.03 |
---|---|
오량가구와 달항아리(2018년 6월 2일) (0) | 2018.06.02 |
달의 뒷면과 오작교(2018년 5월 28일) (0) | 2018.05.28 |
하릅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2018년 5월 23일) (0) | 2018.05.23 |
부처님오신날, 그리고 <싯달타>(2018년 5월 22일) (0) | 2018.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