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행

소산다사(少産多死) 시대(2018년 5월 29일)

divicom 2018. 5. 29. 11:58

미세먼지 때문에 숨쉬기 힘든 나라, 부와 가난이 대물림되는 나라, 초등학생의 꿈이 공무원인 나라...

바로 우리가 사는 나라입니다. 나라가 이러니 태어나는 아이들을 보면 예쁘다는 생각보다

가엾다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 저출산 현상은 우리 젊은이들이 정상적 사고를 하고 있다는 반증이겠지요.


신생아는 줄고 고령 사망자는 늘고 있다니 그 또한 다행입니다. 

나이 많은 사망자는 늘지 않고 아기들의 사망률이 는다면 그거야말로 큰일일 테니까요.


늘 그렇듯 언론은 현상에 열광하지만 '소산다사(少産多死)'는 아직 이 사회에 희망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좁은 땅에 사람이 많아 사람이 사람 대우를 받지 못하는 나라...

소산다사가 한동안 계속되고 나면 다시 사람이 귀해져

사람이 사람으로 대우받는 시간이 오고

그렇게 되면 다시 아이 낳는 사람들이 늘어날 겁니다.


그날이 올 때까지는

아가들아, 태어나지 말아라!

이왕 태어났으면 죽어라고 살아라! 

너를 사람으로 대우하지 않는 자들과 싸우며 살아라!


노인들이여, 나비처럼 가볍게 떠나가소서!

마침내 생로병사의 피로한 여정을 끝내시고 편히 쉬소서!


아래는 인터넷 조선일보에서 본 관련 기사입니다.



사망자 30만→42만명.. 少産多死 시대

김동섭 보건복지전문기자 입력 2018.05.29. 03:07

저출산·고령화로 인구 구조가 소산다사(少産多死)형으로 빠르게 바뀌고 있다. 사망자는 1970년부터 작년까지 47년간 연 20만명대에 머물렀지만, 올해 30만명을 넘고 2030년 42만명, 2059년 57만명을 넘는 등 본격적인 다사망(多死亡) 시대로 진입할 전망이다. 반면 신생아 수는 1970년 100만명에서 작년에 30만명대로 줄었고, 2040년 24만명, 2059년 17만명까지 떨어질 것으로 통계청은 예측하고 있다.

통계청은 작년 사망자가 28만5600명으로 1970년 사망 통계를 작성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고, 올해는 처음으로 사망자가 30만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28일 밝혔다. 올 들어 3월까지 사망자는 8만18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7만3000명)보다 12.1%(8800명) 늘어났다. 사망자가 작년보다 6%만 늘어나면 올 전체 사망자는 30만명을 넘어선다.

◇고령자 사망 늘어 多死亡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수명 개선 속도가 점점 둔화되고 있는 데다, 사망 연령층인 70·80대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나 올해, 늦어도 내년에는 사망자가 30만명을 넘어설 것"이라고 말했다. 고령자가 늘어나면서 기대수명에 다다른 고령자들의 사망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사망자는 늘고 신생아는 줄면서 인구 자연 감소(출생〈사망) 시기도 당초 통계청 예상(2028년)보다 5년 앞당겨진 2023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한국 전체 인구는 1970년(3088만명)에서 작년(5123만명)까지 47년간 2035만명(65.9%) 늘었으나, 사망자가 1970년(25만8589명)부터 줄곧 20만명대에 그쳤던 것은 특이한 경우라고 입을 모은다. 조영태 서울대 교수는 "상·하수도 등 보건 환경이 개선되고, 의료 기술 발전과 건강보험 혜택 확대 등으로 수명이 세계에서 유례없을 정도로 빨리 늘어났기 때문"이라며 "수명 연장으로 사망률이 크게 떨어져 죽는 사람이 그동안 늘지 않았던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권에선 火葬도 힘들 듯

그렇지만 앞으로는 다르다. 통계청은 앞으로 30년간(2018~2047년) 예상 사망자는 1387만명으로, 지난 30년간(1988~2017년)의 748만명에 비해 639만명(1.9배)이나 많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처럼 다사망 시대가 되면 사회·경제적으로 큰 충격파가 올 수밖에 없다. 우선 장례 비용(장례비+화장 등 장묘 비용) 급증과 수도권의 화장 시설 부족이 문제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5년 1인당 장례 비용과 장묘 비용은 평균 1380만원으로 연간 전체 장례 비용이 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계됐다. 2020년대 후반은 4조원, 2040년대는 5조~7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수도권의 화장장(火葬場) 등 화장 시설 부족도 심각하다. 복지부에 따르면 화장 시설은 전국에 59곳(화장로 346개) 있지만 서울·부산·경기 등은 이미 수요에 비해 시설이 부족한 상태다.

임종(臨終) 전 환자를 돌볼 의료기관이나 간병·간호 인력도 크게 부족할 전망이다. 병원에서 사망자가 전체 사망자의 76%에 달하고, 사망 전 요양 시설에 평균 20개월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요양병원 병상은 물론 간호·간병인 부족 사태가 심각해질 수 있다. 전병율 차의과대 교수는 "병원이 아니라 요양 시설, 자택에서 사망할 수 있도록 가정간호·간병·호스피스 제도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