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행

강남 3구 어린이의 우울증과 불안장애 (2025년 4월 29일)

divicom 2025. 4. 29. 11:32

지구상에 한국처럼 이상한 나라가 또 있을까요?

아이가 태어나지 않아 큰일이라며 첨단 기술을

이용해 아이를 낳은 다음엔 그 아이를 괴롭히느라

안간힘을 쓰는 나라, 제가 알기론 이렇게 이상한

나라는 한국뿐입니다.

 

몇 해 전부터 4세 안팎 아이들을 영어 유치원에

보내어 괴롭힌다는 기사를 보며 혀를 찼는데,

엊그제 나온 기사를 보니 그런 식의 괴롭힘이

어린이들을 우울증과 불안으로 몰고 있다고 합니다.

 

아이들아 부디 태어나지 말아라, 꼭 태어나고

싶으면 한반도 아닌 곳에  태어나거라!

 

아래는 동아일보에 실린 '"4세 고시"의 그림자...

강남 3구 아동, 우울·불안장애 4년새 3배로' 라는

제목의 기사입니다. 기사가 길어 사진과 통계는 빼고

옮겨둡니다. 기사 원문은 이 링크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50425/131491610/1

‘4세 고시’의 그림자…강남 3구 아동,

우울·불안장애 4년새 3배로

서울 강남 3구에 거주하는 9세 이하 아동의 우울증과 불안장애

진단이 4년 새  3배 이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유치원

(유아 대상 영어학원)  입학을 위한 이른바 ‘4세 고시’ 등 과도한

영유아 선행학습의 영향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 서울 9세 이하 ‘우울·불안’ 진단 45%가 강남 3구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2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 3구 거주 9세 이하 아동이 우울증·불안장애 진단을 받아

건강보험금이 청구된 건수는 2020년 1037건에서 지난해 3309건으로

4년 새 3.2배로 크게 늘었다. 청구 건수는 2021년 1621건,

2022년 2188건, 2023년 2797건으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기준 송파구가 1442건으로 가장 많았고, 강남구 1045건,

서초구 822건이었다. 지난해 서울 만 9세 이하 아동 우울증·불안장애

진단 청구(7273건)의 45.5%가 강남 3구에 몰려 있었다.

강남 3구는 9세 이하 아동수가 많아 진료 건수가 많은 측면도 있다.

지난해 기준 9세 이하 아동 수는 송파구 2만1795명, 강남구 1만7584명,

서초구 1만3931명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각각 1, 2, 5위였다.

그러나 아동수를 고려해도 강남 3구의 우울증·불안장애 진단 비율은

다른 지역보다 높았다.  9세 이하 아동 1000명당 건보 청구 건수는

송파구 66.2건, 강남구 59.4건, 서초구 59.0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 전체 평균 28.3건의 2배 이상이다.

특히 전국 9세 이하 아동의 우울증·불안장애 건보 청구가 2020년

1만5407건에서 2024년 3만2601건으로 2배가량 증가한 데 비해,

강남 3구의 정신건강 위기 아동 증가폭은 더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과도한 선행학습, 학습 능력-감정 조절에 부정 영향”  

전문가들은 강남 3구 아동의 우울증·불안장애 증가가 과도한 선행학습과

무관하지 않다고 분석한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서울 소재 영어유치원 268곳 중 92곳(34.3%)이 강남 3구에 몰려 있다.

이 중 53곳은 강남구에 있다.

최근엔 영어유치원 레벨테스트를 위한 4세 고시까지 확산하고 있어

아동 정신건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두엽이 완성되지 않은

유아기에 과도한 뇌 자극이 정상 발달을 저해한다는 것이다.

천근아 세브란스병원 소아정신과 교수(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장)는

“유아기까지 내려온 과도한 선행학습은 뇌 기초공사를 할 시기에

고층빌딩부터 짓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이어 “유아기 스트레스는 신생 신경세포 수를 감소시켜 장기 기억,

학습 능력, 감정 조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스트레스 대처 기능과

회복탄력성이 약해져 우울증과 불안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진 의원은 “신체적·정서적 발달이 이뤄져야 하는 시기에 과도한 학습 부담과

경쟁 스트레스로 아이들이 고통받고 있다”며 “교육부는 영유아 사교육 실태

전수조사를 비롯해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성민 기자 m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