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행

금일, 우천시, 시발점 (2024년 10월 9일)

divicom 2024. 10. 9. 12:12

'금일'이 금요일이 아니고 오늘이며, '우천시'가 어디 있는지

알 수 없는 도시가 아니고 '비가 올 경우'라는 뜻이고, '시발점'이

'시발'이라는 거친 말이  들어간 욕이 아니고 출발점을 뜻하며,

'중식'이 중국 음식을 뜻할 수도 있지만 대개의 공문서에서는

점심 식사를 뜻한다는 걸 안다면, 당신은 오늘 '한글날'을

공휴일로 즐길 자격이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각급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과 그들의 부모들 

중엔 위에 열거된 단어들의 뜻을 모르는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사기꾼들이 종교를 팔며 예수님 부처님을 욕보이더니 이제

무식한 한국인들이 한국어와 한글, 세종대왕님을 욕보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부끄러운 '한글날'. '성명'이 이름인 걸 모르는 학생들과

'족보'가 '족발보쌈 세트'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두루 즐기는

공휴일입니다. 제 나라 말도 모르는 사람들이 영어 공부에 열을

올리고 성적에 목을 매어 소위 일류 대학엘 가거나 SNS 세상의

'인플루언서'가 되는 세상, 사람으로 행세하는 축생이 날로 늘고

있습니다.

 

국민의 문해력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습니다. 책을 읽지 않아서,

스마트폰 등 디지털기기 의존적 생활을 해서 등 다양한 이유 중엔

사라진 한자 교육도 있을 겁니다. 국어사전에 등재된 우리말

단어의 57퍼센트가 한자어이고, 국어사전엔 없지만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어까지 포함하면 우리말의 67 퍼센트

가량이 한자어라지만 우리 교실에선 한자를 가르치지 않습니다.

그러니 '중식'을 중국 음식으로만 생각하고 '우천시'를 어디엔가

있는 도시로 생각하는 것이지요. 

아래는 동아일보에 실린 관련 기사입니다. 한 문단 줄여 옮겨둡니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41007/130166009/2

 

한국교총, ‘학생 문해력 실태 인식조사’ 실시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제578돌 한글날을 맞아 전국 초·중·고 교원

5848명을 대상으로 학생의 문해력이 부족해 당황했거나 난감했던

실례를 서술하는 형식의 ‘학생 문해력 실태 인식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6학년이 성명의 뜻을 모른다” “두발자유화 토론하는데

두발이 두 다리인 줄 알았다더라” “이부자리를 별자리로 생각함”

“족보를 족발보쌈 세트로 알고 있다” 등 황당한 사례가 이어졌다.

한 교원은 “사건의 시발점이라고 했더니 선생님이 욕하냐고 말하더라”고

전했다. 시발점(始發點)은 첫 출발하는 지점을 뜻하는 단어다.

또다른 교원들은 “금일을 금요일로 착각한 학생도 있다” “체험학습 

게획표 중식 안내를 보고 짜장면 먹냐고 묻더라” “고등학교 1학년이

혈연이 뭔지 모른다”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수도라는 말을 몰라 충격

받았다” “고3이 풍력이 뭐냐고 물었을 때 난감했다” 등의 답변을 했다.

‘학생들의 문해력이 과거에 비해 어떠하냐’는 물음에 교원 91.8%는

“저하됐다”(저하 53%, 매우 저하 39%)고 했다. 해당 학년 수준 대비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은 절반에 가까운

48.2%에 달했다. 도움 없이는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도 30.4%나 차지했다. 한 교원은 “단어까지

가르치면서 진도를 나가기가 너무 힘들다”고 토로했다.

교원들은 학생 문해력이 저하된 원인으로 ‘스마트폰, 게임 등

디지털매체  과사용’(36.5%)을 1순위로 꼽았다. 이어 △독서 부족

(29.2%)  △어휘력 부족(17.1%)  △지식 습득 교육 부족(13.1%) 등의

순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독서활동 강화’(32.4%)를

가장 많이 꼽았다. 또 △어휘 교육 강화(22.6%) △디지털매체 활용

습관 개선(20.2%) △비판적 사고 및 표현력 교육 강화(11.4%)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교총 관계자는 “문해력 저하는 학습 능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대인 관계와  향후 성인이 된 이후 사회생활에도 부정적 영향과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며 “학생 문해력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진단‧분석부터 시작하고, 디지털기기 과의존‧과사용 문제를 해소하는

법‧제도 마련 및 독서, 글쓰기 활동 등을 강화하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