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185

'AI 커닝' 시대 대학이 사는 법 (2025년 11월 19일)

서울대를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학생들이 AI(인공지능)를 이용해 커닝하다 적발됐다는 기사에 이어 AI 부적절 사용으로 철회된 논문이 200편이 넘는다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AI 사용 의심 논문은 챗GPT 등이 등장한 2022년까지 9건에 그쳤지만, 2023년 이후 195건으로 급증했다고합니다. 이런 기사를 접하며 혀를 차는 사람이 아무리 많아도, AI는점점 더 자주, 더 폭넓게 대학의 시험과 논문에 이용될 겁니다.그러니 한때 고등교육을 전담하다시피했던 대학이 학생들과 연구자들의 실력 검증 수단으로 사용했던 시험과 논문이 여전히 유효한 검증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을지, 지극히 회의적입니다. 나아가 AI를 이용하면 '온 세상'의 지식과 정보를 접할 수있는 이 시대에 '점수' 중심의 ..

동행 2025.11.19

어린이 '마음속 폭탄'이 터지는 이유 (2025년 11월 16일)

오후 산책길엔 영어유치원 아이들을 만나기 일쑤입니다.집에서 가까운 곳에 '플라토(Plato)'라는 이름의 아주 큰영어 학원이 있기 때문입니다. 소위 원어민 교사들이4세 안팎 아이들을 인솔하고 나오면 인도에 접한 차도를 따라 서 있던 노란 유치원 버스들이 문을 엽니다. 버스를 타지 않는 아이들은 삼삼오오 모여서 기다리던엄마들을 따라 갑니다. 전에도 그 아이들을 보면 가슴이 아팠지만 엊그제한국일보에서 본 글이 더욱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그 기사는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인 김효원 박사가 '성장통을 겪는 부모들'에게 4주에 한 번 쓰는 편지이자 조언입니다. '플라토'는 기원전 4세기에서 5세기에 걸쳐 살았던 그리스 철학자입니다.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인 그는 한국에서는 '플라..

동행 2025.11.16

서대문구의회 때문에 (2025년 11월 13일)

종로구에 근 20년을 살다가 서대문구로 이사온 지 근 20년,서대문구에 살아서 참 좋다고 생각했는데 날이 갈수록회의가 생깁니다. 서대문구 살림을 맡아 하는 구의회와 구청이 어떤 원칙으로 움직이는지, 원칙이란 게 있긴 있는지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구청이 하는 일 중에는 통행이 많아 꼭 정비해야 할 보도 대신 행인이 뜸해 공사하기 편한 보도를 정비하는 것처럼사소한 일도 있고, '우리 시대 최고의 철학자'라는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의 강의를 일년에 몇 번씩 개최하는 일도 있습니다. 올해 2월에 '명사 특강'을 했던 김 교수님을 9월~12월에매월 한 번씩 네 번이나 초청해 '인문학 특강'을 연다는데,이성헌 구청장이 연세대 출신이라 김 교수님을 특별히 모신다는 말이 들립니다. 김형석 교수님은 1920년 생입니다..

동행 2025.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