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 12

언젠가 말하리라 (2025년 1월 4일)

몸은 동네에 묶어 두고 입을 닫고 살지만눈은 세상을 봅니다. 1980년대를 2020년대에와서 말하듯, 40년쯤 흐른 후엔 지금을 말할 수 있을까요? 물론 그땐 제 입이 사라지고 없을 테니다른 이의 입이겠지요. 어제 선물받은 책에 눈 가는 글이 있어 옮겨둡니다.원래 제목은 ' 浪吟낭음', 즉 '아무렇게나 읊다'라고 합니다. 이 한시를 쓴 사람은 조선 전기 문신 박수량 ( 朴遂良: 1491-1554)입니다. 인용자에 따라 원문 첫머리 '口耳'가 ' 耳口'로 쓰이기도 합니다.  언젠가 말하리라 벙어리에 귀 먹은 지 오래지만 여전히 두 눈만은 그대로이네.어지럽고 어수선한 세상일들은볼 수는 있지만 말할 순 없네.--박동욱, , 빅퀘스천  浪吟口耳聾啞久(구이롱아구)猶餘兩眼存(유여량안존)紛紛世上事(분분세상사)能見不能..

오늘의 문장 2025.01.04

새해 첫 노래: 지상의 영광은.. (2025년 1월 2일)

무지개 빛 희망으로 시작했던 2024년,회색으로 어두워지더니 검붉은 연기 속에막을 내렸습니다.  새해는 시작되었지만 지상에 새로운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것은산 자들의 몫... 새로운 것 속에서 불멸의암시를 찾는 건 영혼을 잃지 않은 자들만이할 수 있는 일...  윌리엄 워즈워드(William Wordsworth:1770-1850)의 '어린 시절 회상 속 불멸의 암시(Ode: Intimations of Immortality from Recollections of Early Childhood)'를읽습니다. 2The Rainbow comes and goes,and lovely is the Rose,The Moon doth with delightLook round her when the ..

동행 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