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시대에나 어느 사회에나 억울한 죽음이 있겠지만,
세월호 사건의 희생자들만큼 억울한 죽음은 흔치 않을 겁니다.
삼백 명이 넘는 사람을 구할 수 있었는데 왜 구하지 않았을까요?
사건이 일어난 지 4년이 흘렀지만 우리는 아직도 그 이유를 모릅니다.
그 이유가 명명백백히 밝혀질 때까지 우리는 결코 이 사건을 잊을 수 없습니다.
이 사건이 '사고'가 아니고 '사건'인 이유입니다.
아래는 오늘자 경향신문 사설입니다.
이 글에서는 '안전한 대한민국의 염원'이 세월호가 남긴 과제라고 하지만
저는 세월호가 남긴 과제는 '안전'보다 훨씬 크고 많다고 생각합니다.
'부패하지 않은 정부' '어리석지 않은 국민' '제 할 일을 하는 언론'이니까요.
세월호 4주기, 그리고 살아남은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가 4주기를 맞는다. 4년 전 그날 인천을 출발해 제주로 향하던 배가 진도 앞바다 맹골수도에서 침몰했고, 안산 단원고 학생과 교사, 탑승객 등 304명이 영영 가족의 곁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지금도 진도 팽목항에는 추모객들이 마르지 않는 눈물을 훔치고, 사람들은 가방과 휴대전화 등에 노란리본을 달고 있다. 완전한 사고수습과 진상규명, 아직 돌아오지 못한 5명의 귀환과 ‘안전한 대한민국’을 희구하는 마음이 리본에 깃들어 있다. 희생자를 추모하는 문자메시지는 109만건이 넘었다. 바쁜 일상을 보내다가도 문득 미안한 생각에 하늘에 있는 아이들에게 보내는 편지다. 지난 12일 개봉된 세월호 다큐멘터리 <그날, 바다>는 4일 만에 15만명 넘게 관람했다. 사람들은 4년 전과 다름없이 세월호를 기억하고 있다.
지난 4년간 우여곡절을 거치며 사고수습과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은 마무리를 향해 가고 있다. 3년 가까이 누워 있던 세월호는 참사 1091일 만인 지난해 4월11일 목포 신항부두로 옮겨졌다. 단원고 고창석 교사와 조은화·허다윤 학생, 이영숙씨 유해가 수습돼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세월호의 선체 직립(直立)작업이 내달 말 이뤄지면 기관실 등에 대한 마지막 수색작업이 가능해진다. 참사 이후 이준석 선장을 비롯한 승무원들과 청해진해운 직원이 법의 심판을 받았다. 재난 관리의 최종 책임을 져야 할 정부 인사의 잘못은 뒤늦게나마 진상이 드러나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구조지시가 골든타임인 오전 10시17분을 넘겨 이뤄진 사실도 얼마 전에야 확인됐다. 지난달 출범한 ‘2기 특조위’는 의구심이 말끔히 가시지 않은 침몰과 늑장구조 원인을 밝혀내는 데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한다.
하지만 세월호가 남긴 과제, ‘안전한 대한민국’의 염원은 과연 이뤄지고 있는가. 기억과 다짐이 실천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현상을 우리는 자주 목격한다. 지난해 말 15명이 숨진 영흥도 해상 선박충돌 사고, 29명이 사망한 제천 화재, 끊이지 않는 건설현장 안전사고에서 우리의 ‘부끄러운 민낯’을 확인하게 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우리가 아이들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는 여전히 우리 사회가 죽음을 바라보며 생명의 존엄함을 되새겨야 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생명과 안전이 가장 고귀한 기본권이 되는 사회를 만드는 책무는 살아남은 우리에게 있다. 아이들이 지켜보고 있다.
'오늘의 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진미륵의 얼굴(2018년 4월 21일) (0) | 2018.04.21 |
---|---|
조현민의 갑질, 한진그룹의 갑질(2018년 4월 18일) (0) | 2018.04.18 |
미세먼지와 마스크(2018년 4월 13일) (0) | 2018.04.13 |
낮의 길이(2018년 4월 10일) (0) | 2018.04.10 |
공부 (2018년 4월 8일) (0) | 2018.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