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문장

고 김오랑 중령 (2013년 4월 24일)

divicom 2014. 1. 15. 09:23

오늘 한국일보의 '지평선' 칼럼에 이계성 수석논설위원이 매우 슬프고도 중요한 얘기를 써주어 여기 옮겨둡니다. 제목은 '고 김오랑 중령'입니다. 김 중령은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 소장이 이끄는 신군부에 맞서다 총에 맞아 숨졌습니다. 이 정의롭고도 억울한 죽음을 기억하는 국민은 지극히 소수일 겁니다. 김 중령을 상기시켜준 이 위원에게 깊이 감사드립니다.


고 김오랑 중령


1979년 12ㆍ12 군사반란 당시 정병주 특전사령관은 장태완 수경사령관 등과 함께 끝까지 신군부에 저항한 몇 안 되는 장성이었다. 경복궁 30경비단에 모여있던 신군부측은 정 사령관이 자신들의 거사를 진압하기 위해 9공수여단에 출동명령을 내리자 무력 체포에 나섰다. 서울 장지동 특전사령부 인근 주둔 3공수여단의 1개 분대가 동원됐다. 신군부에 가담한 최세창 여단장의 명령을 받은 이들은 자정 무렵 M16소총으로 위협사격을 하며 사령관실에 들이닥쳤다.


당시 사령부 건물에는 주요 참모들과 본부대 병력이 있었으나 신군부 측이 육사 선후배 등의 연고를 이용해 사전조치를 취해 아무도 나서지 않았다. 사령관비서실장인 김오랑 소령만이 체포조의 총격에 권총으로 응사하며 사령관을 보호하다 총알 6발을 맞고 숨졌다. 정 사령관은 왼팔에 총상을 입고 서빙고 보안사 분실로 연행됐다. 김 소령의 시신은 거적때기에 싸여 부대 뒷산에 묻혔다가 다음해 2월 육사 25기 동기들의 노력으로 국립묘지에 안장됐다. 1990년에는 중령으로 추서됐다.

김오랑은 경남 김해에서 태어나 김해농고를 거쳐 육사를 졸업했다. 베트남 참전과 야전부대 지휘관 생활을 통해 실력을 인정받은 유능한 장교였고, 동료 선후배들의 신망도 높았다. 그의 이런 면모를 잊지 못하는 육사 선후배와 지인들은 끈질기게 무공훈장추서 및 동상건립운동을 펼쳐오고 있다. 22일 국회 국방위에서 그에 대한 '훈장 추서 및 추모비 건립촉구결의안'이 통과된 것은 그런 노력의 결과다. 그러나 아직 갈 길이 멀다.

당초 국방위 법안소위의 결의안은'무공훈장'추서와 추모비를 육군사관학교에 건립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국방위 전체회의에서 일부 의원들의 이의제기로 '무공'과 '육군사관학교'를 뺀 결의안이 통과됐다. 그가 숨진 상황이 무공훈장 수여 요건에 해당하느냐를 놓고 국방부 등이 난색을 표명하기도 했다. 12ㆍ12사태는 대법원 판결에 의해 군사반란으로 규정됐다. 그가 반란세력과 교전 중에 전사한 게 분명해졌는데 논란을 더 벌일 이유가 있을까.

*정부는 마침내 어제(2014년 1월 14일) 김오랑 중령에게 훈장을 추서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김 중령 기념사업회가 요구한 ‘무공훈장’ 대신 '보국훈장'을 추서한다고 합니다. 국방부는 김 중령에게 '무공훈장'을 추서하는 것에 대해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보여왔지만, ‘전시 또는 이에 준하는 비상사태에서 전투에 참가하거나 접적 지역에서 적의 공격에 대응하는 등 전투에 준하는 직무 수행으로 뚜렷한 무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어지는 것이 '무공훈장'입니다. 전두환 일당의 군사반란은 분명 ‘전시에 준하는 비상사태’이고, 김 중령은 그 사태에서 전투에 참가했는데 왜 그에게 무공훈장을 줄 수 없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