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문장

한국처럼 교육하면 안돼! (2013년 10월 30일)

divicom 2013. 10. 30. 10:45

외국 유명인사나 언론이 한국의 교육을 치하하는 말을 하는 게 이상했는데, 스웨덴 일간지 아프톤블라뎃(Aftonbladet) 은 다른 목소리를 냈다고 합니다. 한국처럼 교육해서는 안 된다는 거지요. 1830년에 창간된 이 신문이 아직 건재한 이유를 알 것 같습니다. 


지난 10일에는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The Financial Times)가 한국이 고학력자 과잉으로 무거운 대가를 치르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FT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한국의 대학진학률이 가장 높다면서 해마다 5만 명 가량의 대졸자가 노동시장에 초과 공급되고 노동시장이 요구하는 고졸자는 연간 3만 명 이상이 부족해 국가의 성장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부끄럽긴 하지만,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이 제대로 알려져 우리를 따라하는 나라가 없어지는 건 좋은 일이겠지요. 참고로 우리나라의 작년 대학진학률은 (고등학교 졸업생의) 71.3퍼센트였으며 여학생의 진학률이 74.3퍼센트로, 남학생(68.6%)보다 5.7퍼센트포인트 높았습니다. 여학생이 남학생을 넘어선 것은 2009년부터입니다. 아래는 연합뉴스의 유애리 통신원이 스톡홀름에서 보내온 기사입니다.


"교육, 한국처럼 돼서는 안 돼"[스웨덴 신문]

"주당 60시간 공부…학생들 억눌려 있어"

한국의 교육 수준이 높지만, 그 성과의 이면에는 부작용이 크다는 지적이 스웨덴 언론으로부터 나왔다.

스웨덴 일간지 아프톤블라뎃은 스테판 로벤 사민당 대표의 최근 방한 관련 특집 기사를 통해 한국교육의 명암을 해부했다.

아프톤블라뎃은 `지식이 전부, 그러나 대가가 있다'는 제목의 28일(현지시간) 기사에서 한국은 대학 진학률이 2000년 24%에서 2010년 40%로 상승해 진학률 목표를 80%로 새로 설정했다고 소개했다.

한국 15세 청소년의 수학, 과학, 읽기이해 능력이 2009년 65개 조사 국가 중 핀란드 다음으로 우수하다는 점도 거론했다. 스웨덴 학생은 28위라고 비교했다.

이 신문은 한국 학생들이 우수한 이유로 교육을 중시하는 유교사상이 지배적인 사회 분위기, 특히 부모의 높은 교육열을 꼽았다.

학생들은 하루 최대 17시간을 공부하며 대다수는 방과 후 사설학원까지 다닌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이밖에 교사의 처우가 좋은 것도 이 같은 배경으로 분석했다.

신문은 그러나 한국 교육이 거둔 성과의 이면에 있는 부정적인 면들을 지적하며 한국을 벤치마킹하는 것에 경계감을 드러냈다.

스웨덴 국영 방송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인 `한국의 교육 기적'을 인용, 한국의 우수한 학생들의 뒷모습에는 한 달에 6천 크로나(한화 100만원)의 사교육비와 산업화한 학원가가 있다고 지적했다.

학생들이 방과 후에도 학원에서 밤늦게까지 공부해야 하는 현실 탓에 하루에 4시간밖에 못 자며 혹사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최근 한국 학교 4곳의 수업을 참관한 스웨덴 교육 전문가 안나-마리아 마틴손은 "한국의 교육시스템은 너무 교과서와 시험 위주다. 학생들이 그룹활동을 통해 서로 교류하거나 자율로 할 수 있는 여지가 극히 적다"고 말했다.

이어 "학생이 억눌려 있다"며 스웨덴 교육개혁에 한국을 참고하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라쉬 다니엘손 주한 스웨덴 대사는 "청소년에 대한 압박이 심한 것을 주의해야 한다. 장기적인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사민당의 로벤 대표는 "스웨덴은 교육 수준을 올려야 하지만 학생들이 주당 60시간 이상 공부해야 하는 이곳처럼 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