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문장

유민 아빠 김영오, 성인 김영오(2014년 8월 23일)

divicom 2014. 8. 23. 10:03

세월호에서 숨진 김유민 양은 안산 단원고 학생이었고 김영오 씨의 딸이었습니다.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침몰한 세월호에서 적어도 304명이 숨졌습니다. 제가 '적어도'라고 하는 건 그 배에 탄 사람의 수가 승객 명단의 수를 초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고는 언제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지만 세월호 사건은 단순한 사고가 아닙니다. 구할 수 있는 승객을 구하지 않은 '사건'입니다. 이 사건의 진실을 밝혀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세월호 희생자 유족들이 '세월호특별법'을 만들어 진실을 밝히자고 하는 건 바로 이것 때문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을 비롯해 정부가 모든 노력을 기울여 이 사건의 진실을 밝혀냈다면 유족들과 그들의 고통에 공감하는 시민들이 지금껏 세월호특별법의 제정을 요구하고 있지 않을 겁니다. 


세월호 사건 직후 유족들을 만난 자리에서 유족들의 뜻을 받들어 진상을 규명해내겠다던 박 대통령은 이 일을 모르쇠하고 경제를 살리겠다며 시장을 찾고, 7.30재,보궐선거에서 승리한 새누리당은 유족들이 원하는 특별법은 피해자들에게 수사권과 기소권을 주는 것으로 사법체계를 흔드는 것이라고 발뺌합니다. 야당으로서 존재의의를 일찌기 포기한 새정치민주연합은 유족들과 협의도 하지 않고 제 멋대로 새누리당과 합의해 유족들의 분노를 샀습니다.


제 정신을 가진 사람이라면 4월 16일부터 지금까지 이 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이 얼마나 비상식적이며 부당한지 알 것입니다. 추악한 정치적 계산과 후안무치가 판치는 서울 한복판에서 유일하게 청정한 이는 유민 아빠 김영오 씨입니다. 아니 이제 그는 딸을 잃고 슬픔에 잠긴 한 사람의 아버지가 아닙니다. 그는 그 어떤 종교적 성자보다 거룩한 '성인(聖人)'입니다. 진실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내놓은 이, 유민 아빠를 위해 기도해 주십시요. 이 구정물 같은 세상은 김영오 씨를 담아두기에 너무도 더럽지만 우리에겐 그가 그 누구보다 필요합니다. 아래는 오늘 한겨레신문에 실린 김영오 씨 관련 기사입니다.



 ‘유민이 아빠’ 김영오씨
“딸이 살려달라 외치는것 같아”
휴직계 내고 단식농성 시작
정부와 국회 외면 속에
그는 쓰러져 병원에 실려갔다

“세월호법 제정을 보지 못하면
유민이 볼 낯이 없습니다
살아도 산 것이 아닙니다”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며 40일간 곡기를 끊었던 ‘유민 아빠’ 김영오(47)씨가 22일 오전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다. 그는 병원에 도착한 뒤에도 식사를 거부한 채 단식을 이어가고 있다.

김씨는 ‘그날’ 이전까지만 해도 평범한 노동자였다. 전북 정읍 출신으로 충남 아산의 한 자동차 부품 제조공장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던 그를 두고 한 동료는 “정말 열심히 일했다. 왜 그렇게 일을 열심히 하냐고 물어보면, ‘딸을 대학에 보내려고 그런다’고 했다”고 말했다. 김씨는 지난해 7월 회사로부터 정규직 전환 통보도 받았다. 다른 한 동료는 “말수가 적고 남 앞에 잘 나서지 않지만, 고집도 센 사람”으로 기억했다.

그러나 큰딸의 어이없는 죽음이 그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놨다. 큰딸 김유민(17)양은 사고 열흘째인 4월25일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왔다. 자신의 삶에 큰 의지가 됐다던 딸을 가슴에 묻은 그는 “가만히 있으면 술만 먹고 폐인이 될 것 같다. 일이라도 해야 딸을 잊을 것 같다”며 5월7일 회사로 돌아가 20일 남짓 일했다. 그러나 결국은 휴직계를 냈다. 김씨는 주변 동료들에게 “딸 생각이 나고, 악몽까지 꿨다. 도저히 안 되겠다. 딸이 죽은 이유를 알아야겠다”고 했다. “일하고 있을 때 아이가 살려달라고 외치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았다. 머릿속에 딸 생각만 가득했다.”(민주노총 금속노조 소식지 인터뷰)

7월14일부터 김씨는 다른 희생자 가족 14명과 함께 ‘무기한 단식’을 시작했다. 하지만 생업에 쫓긴 다른 유가족들이 하나둘 단식을 접으면서, 지난 5일부터는 그만 홀로 남았다.

국회의 특별법 논의가 공전하는 동안 김씨가 머물던 광화문 천막은 세월호 사건을 증언하는 하나의 ‘상징’이 됐다. 국회의원과 영화인, 가수와 대학교수, 평범한 시민들의 자발적인 ‘동조 단식’이 이어졌다. 방한한 프란치스코 교황이 지난 16일 광화문 시복식에 앞서 김씨의 손을 맞잡고 위로했을 때, 그는 “정부와 여당이 유가족들의 간절한 요구를 외면하고 있어서 단식을 시작했다”는 내용의 편지를 교황에게 전했다. 한 단원고 희생자의 아버지 ㄱ씨는 “수더분하고 점잖은 아버지였다. 우리도 이렇게 오래 (단식을) 하실 줄은 몰랐다. 활동하면서 정부에 실망을 많이 하신 것 같다”고 했다.

김씨는 단식을 이어가는 동안 여러차례 광화문광장에서 청와대까지 걸어가 박근혜 대통령의 면담을 요청했지만 번번이 거절당했다. 단식 38일째인 20일에도 청와대까지 가보려 했지만, 경찰에 가로막혀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김씨는 2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어제 농성장을 찾아온 박영선 의원의 이야기를 듣다가 크게 화를 냈다. 오후에는 청와대 앞에서 충돌이 있었다. … 시위가 아니고 신청서를 제출하려는 거라고 아무리 말해도 막았다. … 손에 힘이 없다. 자다가 중간에 깨고, 개운하지가 않다. 오늘 아무것도 못할 것 같다. 머리가 너무 아파 일기를 더 쓸 수 없다”고 썼다. 얼마 못 가 김씨는 기력을 잃고 농성장에 누워 있다 이날 아침 일찍 시립동부병원으로 실려갔다.

유경근 가족대책위 대변인은 “병원에서 점심에 미음 200㏄와 된장국, 보리차 등을 제공했지만, 김씨가 먹기를 거부했다. 유민 아빠가 ‘특별법 제정을 보지 못하고 여기서 단식을 멈추면 유민이 볼 낯이 서지 않고, 살아도 산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