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문장

'헬조선' 삶의 질(2016년 11월 19일)

divicom 2016. 11. 19. 13:43

한국이 '헬조선'이 된 지 꽤 시간이 흘렀습니다. 어떤 것이든 숫자로 표현할 수 있어야만 실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헬조선'은 루저들의 주장일뿐 현실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그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통계가 있습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내놓은 '2016 세계 속의 대한민국' 리포트입니다. 

이 리포트를 보면 한국에서 여성으로 살기는 더욱 어려워집니다. 

한때 '급속성장'의 본보기로 쓰이던 한국이 '급속퇴행'의 본보기로 쓰이게 된 아이러니...

아래에 경향신문의 관련 기사를 옮겨둡니다. 



세계 47위로 떨어진 ‘헬조선’의 삶의 질

김보미 기자 bomi83@kyunghyang.com



한국의 삶의 질 수준이 세계 47위까지 떨어졌다. 지난해보다 7단계나 하락한 수준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170여개 경제·무역·사회지표를 기준으로 18일 발간한 ‘2016 세계 속의 대한민국’을 보면 1~10점으로 구분한 ‘삶의 질 지수’가 한국은 4.95점으로 지난해 40위보다 크게 낮아진 47위에 머물렀다. 삶의 질이 세계에서 가장 높다고 평가된 스위스(9.83점)의 절반에 수준의 점수다.

이는 미국(8.26점·18위)과 일본(8.11점·20위)은 물론 중국(5.26점·45위)보다도 낮다.

한국의 지난해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만7195달러로 세계 32위에 올랐지만 노동·사회적 측면에서 녹록치 않은 환경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1인당 연간 노동시간(2015년)은 2113시간으로 세계에서 3번째로 많으며, 실업률(2015년)은 3.6%로 세계 14위에 달한다. 시간당 근로보상증가율(2014년)은 27위로 전년 대비 25단계이나 악화됐다. 특히 여성경제활동 참가율(2015년)은 57.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31위에 머물며 여성 고용률은 55.7%, 세계 32위에 그친다.

장시간 일하지만 보상은 충분치 못한 데다 질 좋은 일자리도 부족한 것이다. 경제성장률 역시 2.6%로 104위에 머물렀다.

이에 따라 취업 의지가 없어 훈련도, 교육도 받지 않는 청년 무직자인 ‘니트족’(2014년)은 15~29세 연령층의 18%로 세계 15위에 달한다. 미국(22위·15%)과 일본(44위·6.6%)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취업이 어렵다보니 자영업에 나서는 비율도 민간 영역에서 일하는 노동자의 26.8%로 세계에서 6번째로 많다.

이 같은 낮은 삶의 질은 여성 1인당 출산율(2015년)을 1.26명, 세계 166위로 떨어뜨렸다.

국민들의 삶의 만족 하락은 국제경쟁력(2016년)을 세계 29위로 전년 대비 4단계, 국가이미지(2016년) 역시 세계 16위로 전년 대비 1단계 하락으로 이어졌다. 투명성지수도 43위로 3단계 떨어졌다.

기술·산업 측면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 발전지수가 8.93점(2015년·10점 만점)으로 세계 1위, 인터넷 속도 역시 평균 26.7Mbps로 세계 선두 자리에 올랐다. 글로벌 브랜드 가치는 삼성 기준 452억9700만 달러로 7위에 올랐으며, 1인당 연구개발 투자액(2014년)은 1200.4달러로 14위였다.

교역규모(2015년·9630억 달러)와 무역수지(900억 달러)도 각각 6위, 4위로 상위권이었다. 관광지출(250억 달러)은 세계 8위였고, 관광수입(153억달러)은 세계 22위다.